본문 바로가기
이비인후과/목(두경부)

아프니벤큐액과 다른 가글액(탄툼, 헥사메딘, 리스테린) 비교 – 구내염에서

by NY대디 2020. 12. 11.
반응형

오늘 포스팅은 가글액에 대해 작성하려고 합니다. 병원에서 많이 처방하는 가글액과 흔히 살 수 있는 가글액, 그리고 추천하는 아프니벤큐액에 대해 소개하려고 합니다.

헥사메딘과 탄툼

병원에서 많이 처방하는 가글액은 단연탄툼입니다. 초록색 약으로, 가글을 하면 혀가 아려서 저는 어렸을 때 하나도 안하고 버렸던 기억이 납니다. 탄툼의 성분은 벤지다민 염산염으로, 이것은 진통 소염제 입니다. , 진통 소염제 성분이 구강 내 해당 병변에 묻어 통증을 경감시키는 효과를 보이는 것이지요. , 편도염으로 처방 받으셨다면, 입 앞에만 헹구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편도게 닿을 수 있게 구강의 후방까지 가글액이 닿도록 헹구셔야 합니다. 그 외에 구강 궤양에도 많이 처방합니다. 한 번에 15mL정도, 하루 2~3회 가글 시행하며, 만약 저처럼 혀가 아리는 느낌이 있었다면 물을 섞어 1:1로 희석해서 사용해도 됩니다.

탄툼액

헥사메딘은 주로 구강 내 수술을 시행한 뒤에 처방합니다. 헥사메딘의 성분은 클로르헥시딘으로 살균작용이 있습니다. 탄툼은 진통 작용만이 있었죠? 헥사메딘은 구강 내 상처 부위를 통해 2차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그러므로 구강 내 수술 시행 뒤, 또는 구강 궤양이 있을 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역시 한 번에 15mL 정도, 하루 2~3회 가글 시행하면 됩니다.

헥사메딘 ⓒ 약학정보원

두 약제 모두 장기로 사용하면 치아에 착색될 가능성이 있으나, 보통 짧은 기간 내에 사용하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좋습니다. 물론 구강암 등으로 수술을 시행하면 가글액의 사용이 길어질 수 있으나, 이 경우는 착색보다 살균의 목적이 더욱 중요하므로 가글을 진행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리스테린은 성분이 무엇인가요?

리스테린 액, 리스테린 홈페이지에서 발췌

처방전 없이 흔히 사용하는 가글액은 리스테린인 것 같습니다. 휴대하기도 좋아서 많이들 사용하시는데요, 성분은 무엇일까요? 대표 함유 성분은 유칼립톨, 레보멘톨, 티몰인데, 이 셋 다 에센셜 오일이라고 합니다. 시원하고 상쾌한 느낌을 주는 역할을 하죠. 살리실산 메틸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진통소염제 성분입니다. 리스테린에도 진통소염제가 첨가되어 있었군요. 광고를 보니 프라그, 치석을 예방하고 입냄새를 제거한다고 하는데요, 프라그나 치석은 6개월 마다 한 번 씩 스케일링 해주는 것이 더 좋을 것 같고, 입냄새는 혀의 백태를 잘 제거해주는 게 더 좋을 것 같습니다만어쨌든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기보다는, 평소에 위생 목적으로 사용하는 가글액입니다.

 

아프니벤큐액의 성분과 가격

이 포스팅에서 말씀드리고자 하는 약제입니다. 전공의 시절 바쁜 와중에 구강 내 궤양이 몇 차례 생겼던 기억이 납니다. 대부분은 아프타성 구내염(aphthous ulcer)으로, 피곤하거나 못자면 발생합니다. 치료의 목표는 크게 두 가지인데, 통증의 조절과 궤양의 치료입니다. 여기서 가글제의 역할은 통증의 조절에 해당합니다. , 무슨 가글을 해도 빨리 낫지는 않습니다. 아픔이 줄어드는 것이지요. 궤양을 치료하는 것은 궤양을 알보칠로 소작하거나(태우거나), 국소 스테로이드 연고 또는 주사를 하는 것으로, 상피세포의 회복을 돕는 것입니다. 추가적인 내용은 구내염 포스팅을 참조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20/12/10 - [이비인후과 - 목(두경부)] - 구내염의 원인과 구내염 빨리 낫는 법, 오라메디? 가글?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통증 조절에서는 아프니벤큐액의 효과가 가장 좋았던 것 같습니다. 함유된 성분은 디클로페낙인데, 이 역시 진통소염제입니다. 보통 주사제나 복용약으로 흔히 쓰는 성분입니다. 너무 아파하시는 환자분이 계시면, 아프니벤큐액을 사용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가격은 한 포에 15mL, 9개입에 대략 9000원 정도입니다.

 

평소 구내염을 자주 앓으시는 분이라면, 아프니벤큐액을 상비하셔서 사용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 공감 버튼과 응원의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