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비인후과/코

코피 자주나는 이유, 코피가 안멈출 때, 예방법과 치료법!

by NY대디 2021. 1. 4.
반응형

오늘은 코피에 대해서 포스팅 하겠습니다. 대학병원에서 당직을 서면, 응급한 질환 중 하나가 코피입니다. 간단하게 멎는 코피야 휴지로 막고 하면 멈추지만, 병원 응급실로 오시는 분들은 그렇게 멈추지 않는 분들이죠.

코피는 왜 잘 생기나요?

코피는 왜 생길까요? 코는 혈관이 많이 분포해있는 기관입니다. 몸의 어느 곳도 아무것도 안하고 가만히 두었는데 저절로 피가 나는 곳은 없습니다. 특히 코의 앞쪽에는 여러 동맥이 합쳐지는 부분(Kisselbalch plexus)이 있고, 코 안의 외측 벽에서도 많은 동맥이 합쳐지는 부분(Woodruff plexus)이 있습니다.

타인에게 맞거나 어디 부딪혀서 발생하는 외상으로 인해서도 코피는 발생하지만, 건조한 환경, 비중격 만곡,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염증, 이물, 종양, 혈우병 같은 혈액응고장애도 원인이 됩니다. 그래서 코피가 잦은 분들은 혈압도 확인해야 하고, 주위 환경도 건조하지 않게 신경쓰고, 비강 내 구조에 대해서도 확인을 해야하죠. 보통 나이가 많은 경우 코피가 더욱 잘 발생하는데, 코 안의 점막이 건조하고 얇으며, 혈관의 탄성이 낮기 때문입니다.

 

코피가 나는데 어떡하죠? 집에서 막으면 안되나요?

큰 혈관의 손상이 없다면, 그리고 혈액응고에 문제가 없는 분이라면 10분 만 코 앞을 손으로 막고 있어도 멈출 것입니다. 만약 코피가 많이 나면 일단 병원을 가세요. 근처로 가고 싶다면 동네 이비인후과를 가시길 바랍니다. 응급실로 갈 수도 있습니다. 만약, 똑똑 마치 수도꼭지 살짝 틀어놓은 듯이 나는 코피가 멈추지 않는다, 그러면 저는 응급실로 가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지혈도 중요하지만, 혈액검사도 중요합니다. 적혈구 수치가 떨어진 건 아닌지, 혈소판 수치는 정상인지, 혈압은 어떤지피가 콸콸 나는 것을 보면 불안하기도 하고, 심한 경우 혈압이 감소하는 경우도 생기기 때문입니다.

병원에 가면 어떤 치료를 받나요?

보통 첫 번째 받으시는 치료는 팩킹(packing)입니다. 응급실로 가면 응급의학과 전문의 등의 응급실 상주하는 의사에게 진료를 받는데, 여기서는 일단 패킹이 우선 치료입니다. 보통은 패킹에서 지혈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혈액 응고 작용이 잘 되면, 피가 굳으면서 출혈 장소를 막습니다. 패킹 물질은 바세린 거즈, 물먹으면 뚱뚱해지는 압축된 스펀지, 풍선처럼 부풀리는 물질 등 다양합니다. 코에 패킹을 하면, 코 안에 공기가 통하지 않으므로, 부비동염이나 심하면 독성쇼크증후군 같은 염증성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2~3일 정도 안에는 제거해야 합니다. 간혹 빼면 또 피가 난다고 더 두고 싶다는 분도 계신데, 다시 패킹하더라도 일단 제거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대학병원급의 이비인후과로 가는 경우라면, 내시경도 있고, 전기 소작기도 있기 때문에, 보통은 출혈 장소를 내시경으로 확인하고, 기구 접근이 가능하다면 전기 소작기 등으로 소작술을 시행합니다. 출혈 장소가 전방부에 있으면, 작으면 금방 끝나지만, 기구가 잘 닿지 않는 깊은 부위거나, 출혈 장소가 넓으면 오래 걸리겠죠.

그래도 이정도로 끝나면 다행입니다. 간혹 말초 혈관이 아닌, 좀 더 크고 깊은 혈관에서 출혈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각종 동맥을 막아야 할 때가 있는데, 이는 합병증도 크고, 수술방으로 가서 해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흔히 발생하는 경우는 아닙니다.

 

코피가 너무 자주 납니다. 예방법은 무엇인가요?

평소에 코피가 자주 나시는 분은 어떻게 하셔야 할까요? 먼저 주위 환경을 너무 건조하지 않게 합니다. 가습기를 틀어도 좋고, 요새 많이 하는 마스크를 잘 착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또는 안연고 같이 묽은 연고를 코 입구에 바르는 것도 도움이 되고, 비강 내 생리식염수를 분무하는 것도 습도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혈압이 높으신 분이라면, 고혈압약도 잘 드셔야합니다.

고혈압이 있으신 분들 중 같이 복용하시는 약 중에 아스피린, 항혈소판제 같은 약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약들은 혈액 응고 작용을 낮춰서 작은 외부 충격에도 혈관 손상이 회복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자의로 이런 약들을 중단하시면, 오히려 기저질환을 악화시켜 다른 방면으로 위험할 수 있으니, 위의 약물을 중단할 때는 약을 주시는 담당 의사와 꼭 상의하시고 중단하시기 바랍니다.

자주 코피 나시는 분들은 주의 사항을 잘 지키시고 피가 많이 나면 바로 큰 병원으로 가시길 바랍니다!

** 공감 버튼과 응원의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