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비인후과/귀

겨울철 귀 동상 증상과 응급처치, 귀 동상 치료 방법!

by 이끌림김원장 2021. 1. 8.
반응형

오늘은 귀 동상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올 해는 작년보다 눈도 많이 오고, 추위도 더 심한 것 같습니다. 유난히 추운 겨울, 밖에서 생활하다보면 귀가 얼얼해지는 경험을 해본 적이 있으실 겁니다. 특히 근무 여건 상 밖에서 오랫동안 근무해야 하는 시간이 많은 분들은 귀 동상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또 신나게 밖에서 놀다보면 귀가 쉽게 추위에 노출이 됩니다. 귀 동상을 의심할 수 있는 증상으로는 통증과 함께 빨갛게 변하거나 붓게 되는 것 등이 있습니다.

귀는 왜 동상이 잘 생기는 것일까?

다른 부위보다 유독 귀가 추위에 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먼저 노출된 표면적이 넓습니다. 귀의 굴곡지고 얇은 구조는 부피 당 추위에 노출되어있는 면적이 넓습니다. 이런 누구나 알 수 있는 이유 외에도, 귀는 15도 이하의 온도에서 감각이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그만큼 추위로 인한 통증에 둔감해집니다.

또한 피부 하 조직이나 지방조직이 없으므로 동상에 더욱 쉽게 걸리게 됩니다. 일단 조직 내의 체액이 얼기 시작하면, 피부 하 조직도 같이 동결됩니다. 조직이 직접적으로 파괴가 되면 혈관의 파손도 같이 일어나게 됩니다.

귀 동상이 생긴 것 같아요, 치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귀 동상의 치료는 점진적인 재가온입니다. , 급속히 따뜻하게 만드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동상의 의심된다면, 일단 해당 귀에 38~42도 사이의 따뜻한 물을 적신 손수건, 거즈 등을 20분 가량 대주면서 천천히 귀를 체온과 비슷한 온도로 맞추어 줍니다. 통증과 붓기가 있다면 항생제와 진통소염제의 복용을 시작해야 하며, 파상풍에 대한 예방도 시행해야 합니다.

열감이 있어서 찬 물이나 얼음물을 대거나, 귀를 따뜻하게 하기 위해 뜨거운 물을 직접적으로 대는 것은 좋지 않으며, 이미 동상이 의심된다면 핫팩을 직접 대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동상으로 인해 수포가 발생했다면 저절로 흡수되는 것이 최선이겠지만, 흡수되지 않는다면 깨끗이 소독하여 주사기로 흡인할 수 있습니다.

절대로 압박해서는 안되며, 심한 동상으로 상한 조직이 있다면 바로 제거하기 보다는 괴사한 것이 확실한 부위만 절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눈사람을 만들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동안 귀는 추위에 쉽게 노출되고 있습니다.

유난히 추운 겨울입니다. 눈도 많이 내려서 눈사람을 만드느라 밖에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놀게 될 수도 있습니다. 꼭 방한구를 잘 착용하셔서, 다른 곳 보다 더욱 추위에 약한 를 잘 보호하시기 바라며, 혹시라도 동상이 의심된다면 따뜻한 물을 적신 수건으로 귀를 데워주시기 바랍니다!

 

** 공감 버튼과 응원의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