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비인후과/코

코골이 원인은 '이것'입니다. 코골이 방지기구는 비추!

by NY대디 2020. 11. 17.
반응형

이번 포스팅은 코골이에 대해서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예전에는 수면 시 코골이 및 무호흡은 병으로 여기지 않는 경우가 많았고, 치료에 대해서도 큰 관심이 없었죠. 그러나 생활 수준이 높아지고, 삶의 질에 대해 관심을 가지면서 이를 치료해야하는 질병으로 보기 시작했습니다. 최근에는 양압기가 보험 적용이 되면서 더욱 관심이 증가하였는데요, 오늘은 코골이의 진단과 치료해야 하는 이유, 치료는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수면무호흡증후군과 무호흡-저호흡 지수의 정의

먼저, 코골이는 질병 이름이 아닙니다. 수면 중 심한 코골이, 무호흡과, 주간과다졸림증을 동반하는 경우를 수면무호흡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수면 중 무호흡은 구강비강온도센서로 측정 시 호흡기류의 최대 값이 90% 이상 감소하는 것이 10초 이상 지속(2012 미국수면학회)되는 경우로 정의하는데, 어렵죠? 예를 들면, 그냥 숨 안쉬고 5를 있는 것은 무호흡이 아닌거죠. 저호흡도 추가적으로 정의하는데, 이는 비강압력계로 측정하였을 때 최대 값이 30%이상 감소하는 것이 10초 이상 지속하면서 각성 동반되거나 산소포화도가 3% 이상 감소되는 경우입니다.

위의 내용은 굳이 아실 필요 없습니다. 다만, 우리가 수면센터에 가서 검사를 하면 무호흡-저호흡 지수라는 것을 구하는데, 이것이 바로 시간 당 무호흡과 저호흡이 일어난 횟수를 구한 것이며, 무호흡-저호흡 지수를 보통 수면무호흡증후군의 심각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합니다. 지수가 높으면 무호흡과 저호흡이 많으니까 더 심각한거죠.

 

코골이는 왜 생기나?

코골이는 주로 중년 이후의 남성, 폐경기 이후의 여성에서 호발합니다. 비만으로 인해 기도가 좁아지면 더 쉽게 발생하므로, 체중 증가도 원인이 됩니다. 또한, 음주 같이 인두 주위 근육의 긴장도를 떨어뜨리는 요인도 악화의 원인입니다.

자는 동안 상기도, 즉 숨쉬는 길의 윗부분이 막히는 이유는 인두부, 즉 목구멍 쪽을 좁게 만드는 해부학적 구조나, 기도에 음압이 걸릴 때 생기는 수축력을 근육이 견디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유체역학에서는 베르누이 원리라고도 하는데, 이때 관이 좁아지면 막히는거죠. 그러면 치료는 간단하죠? 목구멍을 막는 구조를 개선하고, 관이 좁아지지 않게 인두의 근육을 강화하면 되겠죠. 이건 치료에서 더 설명하겠습니다.

 

2 : 비강 / 10 : 비인두 / 5 : 목젖 / 6 : 설근 / 그 외 편도 및 후두개 by wikimedia commons

 

추가로, 요새 코골이 방지기구라는 명목으로 콧구멍에 끼는 장비들을 파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코골이는 앞에서 설명했듯이 코, 비인두, 구인두, 하인두 등 여러 위치에서 발생하는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인데, 코에 착용하는 코골이 방지기구로는 코에서의 문제만 해결해 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자가로 구매하여 착용한다면 큰 효과를 보지 못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구매를 결정하기 전에, 꼭 이비인후과 병원에서 진단 받기를 바랍니다.

2020/11/17 - [이비인후과 - 코] - 코골이 증상과 코골이 검사인 수면다원검사에 대해 알아보자.

2020/11/17 - [이비인후과 - 코] - 코골이 예방법과 코골이 수술은 무엇일까?

댓글